제주 올레길 6코스 쇠소깍 다리 -> 외돌개
총 길이 : 11.6Km
소요시간 : 3~4시간
난이도 : 하
그런데 객실이 너무 많다. 주로 단체 손님과 20대 초반의 젊은 층이 이용한다. 조용한 게스트 하우스를 좋아하는데 실수였다. 늦은 저녁까지 너무 시끄러웠다. 새벽 2시가 넘었지만 소음은 계속됐다. 도미토리 특성상 어떤 사람들과 함께 이용하는지 알지 못한다. 어느정도 복불복을 감수해야 한다. 나는 그렇게 까다로운 성격은 아니다. 왠만하면 넘어간다. 하지만 함께 지낸 사람들은 최악이었다. 술을 진탕 먹고와서 진상을 부린다. 숙소안은 술냄새와 소음으로 가득찼다. 토를 안한게 그나마 다행이랄까. 휴식을 해야 다음 날 걸을 수 있다. 짜증이 솟구쳤다.
올레길 6코스는 쉽게 걸을 수 있다. 거리도 짧고 초반에 작은 오름을 제외하고는 평탄한 길이 이어진다. 서귀포 시내로 이어지는 길이라 주변에 편의 시설도 많다.
버스를 타고 보목포구 항으로 왔다. 전날 버스를 타기 위해 6코스를 지나 이곳까지 왔다.
날씨는 기가막힌다. 전날 잠을 설쳐서 속상한 마음이 어느정도 달래진다.
바람도 적고 걷기 참 좋은 날이다. 멀리 섶섬의 모습이 보인다.
근처에 서귀포칼호텔, 파라다이스 호텔이 있다. 덕분에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정방폭포는 폭포수가 바다로 떨어지는 동양 유일의 해안 폭포로, 세계적으로도 자메이카의 던리버폭포 정도만이 잘 알려져 있는 희귀한 형태의 폭포이다. 주상절리가 잘 발달한 해안 절벽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20여 미터의 물줄기가 남쪽 바다의 푸르른 해안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며, 천지연폭포, 천제연폭포 등과 함께 제주도를 대표하는 폭포로 알려져 있다
정방유원지. 올레길 보다는 관광지 산책하는 느낌으로 걷게 된다. 예쁘지만 자연의 느낌은 덜하다. 부모님이나 아이들과 함께 걸으면 더 좋은 길이다.
정방유원지를 끝날 무렵 서복 전시관이 나온다. 큰 관심은 없으니 패스.
서복은 진나라가 통일하기 전 제나라에서 태어났다. 서복은 진시황의 명을 받고 불로장생약을 찾아 3,000여 명의 대선단을 거느리고 다녔다.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에 선진문명을 많이 전파했다고 한다. 한국·중국·일본에서는 매년 서복을 기리는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전시관에는 서복상을 비롯한 진시황릉의 청동마차, 병마용 등 관련 자료들이 전시되어있다.
드디어 서귀포시내로 들어왔다. 시내로 들어오면 6코스는 A,B 2가지 코스로 나뉜다. 이중섭거리와 제주시내를 관통하는 A코스와, 천지연 폭포를 볼 수 있는 B코스이다. 나는 이중섭 박물관을 가보고 싶었다. A코스로 결정했다.
이중섭거리가 나온다. 제주도민의 이중섭을 향한 애정과 자부심은 굉장하다.
이중섭의 그림 '황소'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2006년 35억 ~ 45억원 가격대로 경매에 오르기도 했는데, 정작 생전에는 넉넉하지 못한 삶을 살았다. 6.25 전쟁 때 제주도로 피란 간 때의 경험이 창작에 도움이 됐다고 전해진다. 그래도 이 피난 생활이 이중섭에게는 그나마 가장 평화로운 삶이었다고 한다. 서귀포시에는 그가 가족들과 피난 생활을 했던 집이 아직도 남아 있다. 부두 막노동으로 생계를 잇다가 이마저도 건강 문제로 여의치 않게 되자 당시 담배갑에 들어있던 은박지에 그림을 그렸다는 일화 또한 유명하다.
이중섭 거리. 화가 이중섭이 잠시 머물렀다던 ‘이중섭 거주지’, 이중섭의 원화를 보유하고 있는 ‘이중섭 미술관’, 그의 작품을 토대로 운영되는 ‘중섭 공방’ 그리고 중간중간마다 놓여진 작품들까지, 거리 전체에서 그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여성들이 좋아할만한 아기자기한 카페들도 많다.
확실히 작가의 인생을 알고 작품을 보는게 좋다. 미술을 잘 몰라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중섭은 시대적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삶을 살았다. 하지만 그가 제주도에서 그린 아이들과 게, 닭, 소의 모습들은 밝고 사랑스러운 모습들이 많았다.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보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그림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면서 말이다.
갈매생태공원을 지나..
중간에 편의점에 들러 허기를 달랬다. 제주도에 왔으니 해물라면?을 먹어보자.
삼매봉 입구
삼매봉은 서귀포시내와, 한라산, 바다를 모두 조망할 수 있다. 날씨가 좋은 것은 행운이었다. 정상까지는 30분 정도 걸리는 코스이다.
서귀포시내
구름에 숨어버린 한라산
시원하게 펼쳐진 바다 까지..
삼매봉 관람대에서 찍은 파노라마 샷이다.
삼매봉을 내려오니 7코스 시작 지점이 나온다.
해도 지고 많이 피곤하다. 게스트하우스에 들어와 잠을 잤다.
관련글 : 올레길 전체 일정 보러 가기
'국내여행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올레길 8코스 월평아왜낭목 쉼터 - 대평포구 (0) | 2017.10.11 |
---|---|
제주 올레길 7코스 외돌개 -> 월평 아왜낭목 쉼터 (0) | 2017.10.09 |
제주 올레길 5코스 남원포구 -> 쇠소깍 다리 (0) | 2017.10.08 |
제주 올레길 4코스 세화2리 사무소 -> 남원 포구 (0) | 2017.10.07 |
제주 올레길 3코스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 제주 올레길 4코스 (세화2리사무소) (0) | 2017.10.07 |
게 시 글 공 유 하 기
페이스북 |
트위터 |
구플 |
카스 |
네이버 |
밴드 |